3040경제

2023년 12월 21일 3040 경제 초보의 경제 뉴스 소개하기(네이버, 카카오, 스타트업)

마찌b 2023. 12. 21. 06:30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3121915580000859

 

'지배적 플랫폼 사업자' 네카오 겨눈 공정위... 사전규제 도입

공정거래위원회가 독과점 플랫폼 기업을 겨눈 ‘플랫폼 공정 경쟁촉진법(가칭)’을 추진한다. ‘윤석열 정부표 플랫폼법’으로, 구글과 네이버, 카카오 등 거대 플랫폼 기업을 지배적 사업자로

m.hankookilbo.com


네이버와 카카오 불과 10년 전까지만 해도 한국의 대표기업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규모의 회사였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보급과 휴대폰의 개인정보 보호의 발전 및 손쉬운인증으로 기존의 공인인증 시스템에 지친 국민들이 너도나도 핀테크에 빠져버렸다.
어느누가 쉽고 빠른 시스템을 활용하니 않으랴…

다만 그 속도가 너무나도 빨라 카카오와 네이버는 그 속도에 발맞추어 문어발식으로 이런저런 서비스를 연계하기 시작했다. 당연히 가장 쉽고 빠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해서 보급했고 그걸과 엄청난 수익이 났다. 당연히 기업은 노다지 블루오션에 큰 고래가 될 수밖에 없었다.

사진: Unsplash 의 guille pozzi


과연 이게 기업의 잘못일까? 핀테크 도입시점에도 끝까지 공인인증시스켐을 고집하던 국가기관들이었는데 진즉에 적응하고 제도를 마련했으면 이런 문어발식 확장은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

지금 규제를 하는건 옳다 다만 플랫폼을 없애는건 불가능하니규제를 넘어서 중소기업들의 시장참여가 그 플랫폼 위에서 움직이게 연계해주는 정책일 펼치는건 어떨까 한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3121715390002181

 

경력 필요한 취업자와 실력 필요한 기업 모두 웃자...'맞춤형 인재' 찾는 묘안은

서울 강서구 등촌동에 둥지를 튼 스타트업 알파브라더스는 '디자인 구독'이란 새로운 서비스로 대박을 터뜨렸다. 제품 로고, 포스터 등 디자인 의뢰 건마다 기업과 디자인 외주업체가 계약을 맺

m.hankookilbo.com


스타트업을 시작하는데 가장 어려운것은 무엇일까?
사업비를 융통하는것? 계약을 따내는것? 아니다!
일은 사람이 한다! 가장 어려운건 사업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양질의 인력을 구하는것이다.

그런데 스타트업 사업에 과연 경력이 많고 능력이 뛰어난 인력이 올까? 아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능력있는 인력은 너도나도 고용이 안정된 대기업으로 간다. 그렇기에 양질의 인력보다는 같이 구르면서 체계없이 엉망으로 성장하는 인력이 계속 생길 수 밖에 없는것이다.

때문에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함께 안정적으로 성장할 인력과 함께 실력있는 경력자의 도움도 필요한 것이다. 멘토 멘티라는 제도도 있지만 프로의 세계에서 멘토를 구하기란 쉽지가 않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신입인력을 안정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으러 젊은 신입직원에 대한 인건비 지원이라는 제도를 도입했다.

사진: Unsplash 의 Brooke Cagle

신입사원을 하나의 직원으로 키우기까지는 월급보다 더욱 많은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지만 기업은 이윤창출이 목적이기에 처음에는 인건비만큼의 일을 하지 못하는 직원을 두기는 어렵다. 해당 제도로 기업에서는 투자리스크를 줄이고 일자리도 창출하고 1석 2조의 효과를 줄 수 있다. 인턴 자리를 늘려서 취업율만 높이려는 제도와는 근본자체가 다른 좋은 제도라 할 수 있겠다.

사진: Unsplash 의 Proxyclick Visitor Management System

스타트업 기업이 이런 제도를 이용해서 안정적으로 직원과 함께 성장하여 플랫폼 사업위에서 놀 수 있게끔 해주면 얼마나 건전한 나라 경제기반일까? 상상할 수 없을정도로 좋은 기반이 될것이다.